구분 | 비지정문화유산 | |
---|---|---|
종별 | 비지정문화유산 | |
지정일 | ||
분류 | 고인돌 | |
소재지 |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산 54-3 | |
내용 | 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 鴨村洞鴨村-群 ]
정의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에 있는 청동기시대 고인돌군. 위치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은 광주광역시 남구 압촌동 장흥고씨 문중 산사면, 송학산 남동쪽 고갯마루 도로변, 송학산과 제봉산 사이 고갯마루를 넘어가는 소로변 등에 군집을 이루어 분포한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은 1974년에 1기가 조사되었다. 1990년 조사에서 압촌마을 고인돌(1) 18기가 새롭게 확인되었고, 기존 압촌마을 고인돌은 압촌마을 고인돌(2)로 명칭이 바뀌었다. 고인돌은 장흥고씨 문중 산 경사면에 남북 방향 1열로 분포하였으며, 압촌마을 고인돌(1) 중 1기는 도굴된 상태였다. 대표적인 고인돌은 1호로 덮개돌 규모가 길이 680㎝, 너비 390㎝, 두께 120㎝로 가장 크며, 덮개돌 아래로 굄돌 9매가 있다. 압촌마을 고인돌(2)도 덮개돌 아래로 굄돌 3매가 확인되었다. 형태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 중 가장 규모가 큰 고인돌은 가군 1호이다. 덮개돌 규모가 길이 680㎝, 너비 390㎝, 두께 120㎝이며, 굄돌 9매가 덮개돌을 받치고 있다. 의의와 평가압촌동 압촌마을 고인돌군은 4개 군집으로 이루어진 중형급 규모에 해당한다. 길이 600㎝ 이상 대형에 속하는 덮개돌도 확인되며, 전형적인 고인돌 모습도 관찰된다. 비록 일부가 이동되거나 훼손되었지만, 현재 상태라도 제대로 된 관리가 필요하다.
내용 출처 <한국학중앙연구원 - 향토문화전자대전>
|